암호화폐 믹서와 크로스체인 브리지: 해커들이 탈취 자산을 세탁하는 방법
암호화폐 믹서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암호화폐 믹서, 흔히 '텀블러'라고 불리는 이 도구들은 주로 암호화폐를 활용한 거래의 출처를 숨기는 데 사용됩니다. 해커들은 자신이 보유한 암호화폐를 믹서 주소로 보낸 후, 다른 사용자들이 보낸 코인들과 섞어 원래 출처를 가리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믹서는 금융 정보의 은폐와 사생활 보호에 기여할 수 있지만, 해커들이 탈취한 자금을 세탁하는 데에도 악용되고 있습니다.
크로스체인 브리지의 역할과 보안 취약점
크로스체인 브리지는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 자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해커들 역시 이 도구를 이용해 자금을 세탁합니다. 브리지의 '잠금-민트(lock-mint)' 방법은 자산을 스마트 계약으로 잠근 후, 해당 자산의 래핑된 버전을 타겟 블록체인에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솔라나 네트워크로 자산을 전송할 때, 원래 자산을 이더리움에서 '잠근' 뒤 솔라나에서 '래핑'된 버전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해커들은 이러한 브리지의 취약점을 악용해, 타겟 체인에서 원래 자산이 잠금되지 않고도 래핑된 자산을 생성하는 등 불법적인 전송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해커들은 자산을 탈취하고도 추적을 피할 수 있게 됩니다.
해커들의 자금 세탁 단계: 삽입, 계층화, 통합
삽입 (Placement)
이 단계에서 해커들은 불법 자금을 더 안전한 금융시스템으로 도입합니다. 여기에는 자금을 소액으로 쪼갠 후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방식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법은 법 집행 기관이 출처를 추적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계층화 (Layering)
계층화 단계에서는 여러 거래를 통해 자금의 출처를 완전히 숨기기 위해 암호화폐를 여러 주소로 이동시킵니다. 해커들은 규제가 느슨한 거래소나 탈중앙화된 플랫폼을 이용해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며, 추적이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통합 (Integration)
마지막으로, 합법적 경제 체제로 세탁된 자금을 다시 도입합니다. 이 단계에서 암호화폐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순환되며, 범죄 활동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제거됩니다. 이후 해커들은 자금을 법정 화폐로 교환하거나 부동산과 같은 자산에 재투자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세탁된 자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라자루스 그룹: 암호화폐 세탁 사례
북한의 라자루스 그룹은 최근 여러 암호화폐 해킹 사건에 연루되어 있으며, 복잡한 자금 세탁 방법을 이용해 탈취 자산을 은폐했습니다. 예를 들어, Bybit 해킹을 통해 14억 6천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했으며, 크로스체인 브리지와 믹서를 활용해 자금을 세탁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해킹 이상으로, 다양한 탈중앙화 금융(DeFi) 기술과 현대적 자금 세탁 기법을 결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라자루스 그룹은 수년간 이러한 기술을 통해 무려 5조 원 이상의 암호화폐를 탈취한 바 있습니다.
결론
암호화폐 믹서와 크로스체인 브리지의 사용은 프라이버시 보호와 자금 세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의 악용을 막기 위한 국제적 규제와 법 집행이 앞으로의 과제입니다. 더 많은 정보는 Cointelegraph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크립토 커뮤니티는 기술 발전과 규제 간의 균형을 찾아야만 하며, 이는 개발자와 사용자가 함께 조화로운 생태계를 구축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갈 때 가능합니다.